임고생메뉴얼

[임고생 메뉴얼] 8. 하루 공부 ALT-PE(실제 공부시간)는 얼마나?

래뽀 2009. 10. 31. 17:39

8. 하루 공부 ALT-PE 는 얼마나?  

수험생이라면 자신의 공부시간이 충분한지 다들 의문일 것이다.

 남들은 도대체 하루에 얼마나 공부하고 책상에 앉아 있는 지

 필자 또한 궁금했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어떻게 하면 더 공부시간을 늘릴 수 있을까?” 에 대해 고민을 할 것이다.

 

 


 

 

 

예전에 어느 여학우의 고민을 들어준 적이 있었다.

 아침 6시에 일어나서 밥먹고 차타고 학교 도서관에 도착하면 8시.

 8시부터 12시까지 공부하고

 12시부터 30분 간 점심시간을 먹곤 하지만,

 이 시간도 아까워서 대충끼니를 때우거나 굶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점심을 먹고 나서 쭈욱 6시까지 공부

 6시부터 7시까지 저녁을 먹고,

 7시부터 10시까지 공부를 하고 막차 버스를 타고 집에 가서

 자기 전에 10분정도 남자친구랑 통화하고 잠을 잔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도 자신의 공부시간이 부족한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을 요청해 온 적이 있었다.

 

 


.....

 

....


.....

 

 

 

남자친구와 헤어지세요. 그러면 매일 10분 더 공부 할 수 있어요.

 

 

 


 

 


웃자고 하는 소리에 죽자고 달려들지 말자....;

 합격생 설문조사에 따르면 하루 최대 공부량은 8~14시간

 필자도 한참 공부하는 흉내에 빠져있을 때 하루 8시간정도 공부를 했었다.

 나는 8시간을 공부의 기폭점이라고 하고 싶다.

 하루에 딱 8시간씩 공부하는 습관이 자리 잡으면

 컨디션 여하에 따라 그 이상의 시간도 쉽게 늘려 갈 수 있기 때문이다.

 8시간이라는 시간을 채우기 위해서는

 2-3-3 혹은 2-4-2, 2-2-4 던지 간에 3등분해서 머리 가슴 배,

 아침 점심 저녁 등으로 분할을 해야지만 채울 수 있는 시간이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디 절대 못가고 꼼짝없이 하루 종일 책상 앞에 앉아 있게 된다.

 행간에는 '4-4, 3-5로 하면 되지 않느냐?' 라고 하지만,

 우리는 기말고사 같은 단거리 주자가 아니라

 임용고시라는 장거리 주자라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지치지 않고 꾸준히 하기 위해서는

 공부시간과 휴식시간을 적당히 안배해서 꾸준한 습관과 체력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2 - 3 - 3 정도로 공부하는 습관이 익숙해진다면 한 파트에 한 시간씩 늘려

 3 - 4 - 4 정도까지 11시간이 되고,

 남는 시간을 틈틈이 활용한다면 하루 12시간의 대장정도 꿈은 아니다.

 이번 챕터는 “삼각김밥을 맛있게 드시려면 껍질을 까고 드시면 됩니다.”처럼

 너무 당연하고, 뻔한 이야기 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런 뻔한 이야기가 나의 글의 매력이 아닐까? 혼자 위로를 해본다

글쓴이가 안쓰러워 한 줄씩 써주는 댓글은 

변비치료와 임용고시 합격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


 추천에는 로그인과 돈이 필요하지 않아요^^.



알라딘 창작 블로그 연재 중